본문 바로가기

Forensics/Windows Forensics

휴지통(Recycle Bin) 분석

윈도우 시스템에서 Shift + Delete 를 이용하면 파일이 완전히 삭제되며, 그렇지 않은 방법으로 지우면 파일이 임시로 휴지통에 들어가고 추후 복원이 필요하면 복원을 할 수 있다. 즉 파일을 삭제하면 휴지통으로 이동되고 실제로는 지우지 않고 메타정보만을 변경한다. 휴지통 분석은 파일 삭제 시각, 삭제된 파일의 원본 경로 및 크기 정보를 얻을 수 있다.

 

휴지통 폴더 밑에 사용자 SID 이름으로 휴지통 폴더가 생성이 된다. 파티션마다 따로 휴지통 폴더가 생성된다.

 

사용자 SID는 아래의 경로에서 확인이 가능하다.

  • 레지스트리 경로: HKEY_LOCAL_MACHINE\SOFTWARE\Microsoft\Windows NT\CurrentVersion\ProfileList

 

또는 cmd 창에서 wmic UserAccount Where LocalAccount=True Get SID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다.

 

파일 삭제 시 휴지통으로 이동된 파일은 파일별로 $I, $R 파일이 생성된다.

종류 이름 규칙 내용
$R $R [임의 문자열].[원본 파일 확장자] 원본 파일과 동일함
$I $I [임의 문자열].[원본 파일 확장자] 삭제된 파일의 정보

 

$I 분석으로 아래와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
  • 삭제 파일 이름 & 확장자
  • 삭제되기 전 파일 경로 & 이름
  • 파일 크기
  • 삭제 시각

 

FTK Imager와 RBcmd 프로그램으로 $I 정보를 파싱하여 csv로 확인 가능하다.

 

- 파일 구조

$I 파일은 544byte 크기를 가지며 아래와 같은 정보를 가진다.

범위(Hex) 크기(Byte) 이름 설명
0x00 - 0x07 8 Header 파일 헤더
0x08 - 0x0F 8 File Size 원본 파일 크기
0x10 - 0x17 8 Deleted Timestamp 삭제된 파일 시간 정보
0x18 - 0x1B 4 File Name Size 원본 파일 경로 사이즈
0x1C - 0x-- 가변적 File Name 원본 파일 경로(Unicode)

 

'Forensics > Windows Forens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Volume Shadow Copy  (0) 2025.02.23
USB 장치 분석  (0) 2025.02.20
Printer Spooler 분석  (0) 2025.02.19
쉘백(ShellBag)  (0) 2025.02.19
윈도우 포렌식 개요  (0) 2025.02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