윈도우는 폴더 및 바탕화면의 보기 기본 설정을 기록하여, 사용자가 다시 방문할 때 이전 위치와 설정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. 이러한 GUI 기본 설정은 레지스트리 내 ShellBag 키를 통해 저장된다.
ShellBag은 User Registry Hive(예: NTUSER.DAT, UsrClass.dat) 내에 존재하며, 사용자가 열람한 폴더(로컬, 네트워크, USB 등)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. 이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폴더에 접근한 시각을 확인할 수 있으며, 폴더가 삭제된 후에도 관련 정보를 유지하기 때문에 삭제된 폴더의 위치나 속성을 추적할 수 있다. 또한, 폴더의 삭제 및 덮어쓰기에 대한 기록도 남아 있어 디지털 포렌식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.
레지스트리 내 ShellBag은 Bags와 BagMRU 두 가지 주요 키로 구성된다. BagMRU 키는 폴더의 이름과 경로를 저장하며, Bags 키는 창 크기, 위치, 보기 설정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.
1. 레지스트리 경로
- HKEY_CURRENT_USER\Software\Classes\Local Settings\Software\Microsoft\Windows\Shell\Bags
- HKEY_CURRENT_USER\Software\Classes\Local Settings\Software\Microsoft\Windows\Shell\BagMRU
- HKEY_CURRENT_USER\Software\Microsoft\Windows\Shell\Bags
- HKEY_CURRENT_USER\Software\Microsoft\Windows\Shell\BagMRU
ShellBags Explor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접근한 폴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2. 구조 확인
Block
범위(Hex) | 크기(Byte) | 이름 | 설명 |
0x00 - 0x01 | 2 | Block Size | 블록 크기 |
0x02 - 0x03 | 2 | Type | 0x31(Directory), 0x32(File) |
0x04 - 0x07 | 4 | File Size | 파일 크기 |
0x08 - 0x0B | 4 | Modification Time | 수정 시각 |
0x0C - 0x0D | 2 | Type | 0x10(Directory), 0x20(Zip File) |
0x0E - 0x-- | 가변적 | Short Name | 파일/폴더명 짧게 표기, 이름의 크기에 따라 다름 |
Extension Block
범위(Hex) | 크기(Byte) | 이름 | 설명 |
0x18 - 0x19 | 2 | Extension Block Size | 익스텐션 블록 크기 |
0x1A - 0x1B | 2 | Version | |
0x1C - 0x1F | 4 | Signature | 0xBEEF0004 |
0x20 - 0x23 | 4 | Create Time | 생성 시각 |
0x24 - 0x27 | 4 | Last Access Time | 마지막 접근 시각 |
0x28 - 0x2B | 4 | Identifier | 0x2E (Windows 8.1, Windows 10) |
0x2C - 0x2F | 4 | MFT Entry Number | |
0x30 - 0x31 | 2 | Reserved Area | 예약 영역 |
0x32 - 0x33 | 2 | MFT Sequence Number | |
0x34 - 0x41 | 14 | Reserved Area | 예약 영역 |
0x42 - 0x45 | 4 | Checksum | 각각 파일/폴더의 고윳값 |
0x46 - 0x-- | 가변적 | File Name | 파일/폴더명 표기, 이름의 크기에 따라 다름 |
0x-- - +0x4 | 4 | Extension Block Offset |
'Forensics > Windows Forens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olume Shadow Copy (0) | 2025.02.23 |
---|---|
USB 장치 분석 (0) | 2025.02.20 |
Printer Spooler 분석 (0) | 2025.02.19 |
휴지통(Recycle Bin) 분석 (0) | 2025.02.19 |
윈도우 포렌식 개요 (0) | 2025.02.18 |